담양 명옥헌 원림

작성자 정보

  • 라이프 작성
  • 작성일

컨텐츠 정보

본문

 

AVvXsEjWAcrvtp9jt_OTw-pyX0OWj4ML79LxJSsITWN417y08-a0ltUZe_M5x1YLBv8HC-sb1ZuxIL_fuvmKW4lUBiIgwzzr3PRJRMTdZOCfHSY06mY3zP8Sm-siF3lew1HDfzSzVdulJ1CJwEVayOA67baeD80y9J4BX97YVUb5Rn9lwYI-b4VwX6j31R9XCQ=w640-h428

 

 

 

‘대나무의 도시’ 담양에 있는 명옥헌 원림, 날이 따뜻해지면 배나무가 주인공으로 등장하며 담양 일대가 짙은 분홍빛으로 물듭니다. 그 중 압도적인 경관을 자랑하는 곳은 고서면에 있는 담양명옥헌정원입니다. 여름이면 정자 앞 연못에 연꽃이 만발합니다.

 

AVvXsEiQyUi9pDHkJV1r14SybRghuqWWrUizEAowfBH4r8mY_iPFdHqPW0H9ZGFEWMe95hTxCj0buBHrWbh0ivrfSRpK64LPROYWC4a_BeXv1s6nugtSxa81ndbd59NDhAf1GF8nLl4U-4Qyop4-UARqKBJAeFYSRlQ6OytOjZKJCvqUoxqOoELXekwTBWxFaQ=w640-h426

 

 

 

풍부한 블루베리 꽃이 만발하는 7월 하순 이곳에 발을 들이면 마치 다른 세상에 온 것 같은 착각이 들 것입니다. 그림처럼 앉아 있는 정자, 푸른 잎을 가진 소나무, 붉은 꽃을 피우는 매자나무가 환상적인 소우주를 보여줍니다. 정자 앞 연못은 이 풍경을 그대로 담아낸다. 맙소사’라는 감탄사가 저절로 나오며 여기저기서 ‘좋다’는 느낌이 들 정도 입니다.

 

AVvXsEj39YsjjP_T130837ou6s9RRJnaa0QxbnnSQLdMQ9ZcP8mb3iPJHUVHZiAPVdxlpFkUomJ1wnwstxBjSVZpqwbIj442p1A8dTRqUOrdyjreMv9dvNul6_zHPvWJtJNZzAG4Q80XkCGPe83EzCl1iBdFqQb-i67iprLdz9nkZONHBN0AQx3In7rwu0W1EA=w640-h426

 

 

 

세월이 흘러 굵고 거칠어진 명옥헌 앞 나무

명곡헌 정원에는 수령 100년이 넘는 나무가 20여 그루 있습니다.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느다란 매자나무와는 또 다릅니다. 세월이 흐른 이후로 두껍고 거칠어졌습니다. 정자를 둘러싼 소나무, 느티나무, 동백나무도 반얀트리와 조화를 이룹니다. 명옥헌의 작은 아파트에 앉아 붉은 축제를 바라보면 마음이 따뜻해지는 것을 느낄 것입니다.

 

AVvXsEgcg7bPa5nuQJDuGU1rClCiIlw1QSw_MJDhVnsC-95XRml2_ZwVS7Mferh2QXRZQ8svtx4gE--ZetXpiIZIf_xC718s3k14bd_A-nDJi_tN_ckQyHv7gtKb1fo9_8X3tRgosa0oOSI9-tiAqh0bQ35ohYj7B6H2H6n6nHpX6d1qocniXXzATYhyfesjcw=w640-h428

 

AVvXsEhIUg_cvh_B3bCUzlgX1ktoiADdYJZdTYae3cFuVKjw0akRMFoB9FUWc2H0yLJDHLb0HasiXBVuvXsnjjk0ZV6MrLohaR6CXju2_AVIib6MX3U1ZdMJgivczOc8H4KG3ukVoXoME4js8WW3XsHwPjezBBcXYLHelsEzsZtC4iUzemrz_8lQxWAR5Rx1gg=w640-h418

 

AVvXsEgevtesZqeM7UB-Y1yuPe4Rp0fLWJ0u3uXlRVDWdgHJLymqHzeYnEvRufxR6PwQ_aeIm3ZjFfWae2X-Dw5rKnyRm5czL_tN47nS4CqgXxzk2wUQikMp7RipUk4cm3ginFI4Aalt0VbZi7h6ltvlNUQS0t3PN-Vzs7mTLxurSd92knzNKco1iHmxo--uIw=w640-h428

 

조선시대  원형의 연못.

명곡헌 정원에는 연못이 있습니다. 입구에는 큰 연못이 있고 정자 뒤에는 작은 연못이 있습니다. 조선시대 정원에 모습을 드러낸 방원도식 연못으로 연못 한가운데에 작은 섬이 있다. 바로 옆에 계곡이 있어서 비가 온 뒤 맑은 물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. 옥을 치는 소리가 난다 하여 ‘명옥헌’이라는 이름이 붙었다. 정자 뒤편에는 ‘명곡헌 계축’이라고 적힌 바위도 있다. 가사는 우암 송시열이 썼다고 한다.

 

AVvXsEjjHDlkBSpt0xBfalynr_ymJw41pNtOaKEC6WKw_HZ6tnICieaygAgzZTj1IM2UQDe8hzbOPiey7wGQqKJfKX6CIO6-PZkS2Ih_kCM35CQzFPg_2zNPpd3TdUzi_lDP_FUIIDMOgrzY1yguUqivXuvsewIsMvnI0zRkZR85B6K7eHTvSejsDiPYEZCiUw=w640-h422

사진출처: 한국관광공사

 

 

관련자료

댓글 0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